리눅스는 기본적으로 다중사용자 OS이기 때문에 OS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로그인을 하셔야 합니다. 리눅스에 로그인하기 위해서는 영문자의 대소문자 구별이 엄격합니다. 이점을 주의가 필요합니다. 이것은 호스팅을 받으면서 알아야 할 명령어입니다.
가장 많이 쓰는 명령어는 ls -al 입니다.
윈도우의 탐색기와 같다 생각하시고 DOS를 사용하신다면 dir과 같습니다.
> ls -al : 디렉토리 리스트와 파일 속성을 보여달라는 명령어
> cp : 파일을 copy
> cat : 파일의 내용을 보는 명령입니다.
> cd : 경로를 이동하라는 명령입니다. 현재 /home/user 디렉토리에 있는데 /etc/init.d으로 이동하고 싶다면 cd /etc/init.d 타이핑을 치시면 됩니다.
> adduser :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는 명령어입니다.
> passwd abc : abc 유저의 패스워드를 변경하라는 명령어입니다.
'리눅스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entOS 5에서 기본 APM 설치 (0) | 2010.08.16 |
---|---|
웹서비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리눅스는 어떤 리눅스일까? (0) | 2009.04.07 |
yum을 이용한 APM 설치 방법 및 yum 명령 사용법 (0) | 2008.11.26 |
리눅스 배포판의 종류(1) (0) | 2008.10.13 |
호스팅 이용을 위한 MySQL 기본 사용법 (0) | 2008.03.18 |